11779번: 최소비용 구하기 2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n≤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m≤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
www.acmicpc.net
문제
n(1≤n≤1,000)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m(1≤m≤100,000)개의 버스가 있다. 우리는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버스 비용을 최소화 시키려고 한다. 그러면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 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과 경로를 출력하여라. 항상 시작점에서 도착점으로의 경로가 존재한다.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n≤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m≤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도착지의 도시 번호가 주어지고 또 그 버스 비용이 주어진다. 버스 비용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은 정수이다.
그리고 m+3째 줄에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구간 출발점의 도시번호와 도착점의 도시번호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출발 도시에서 도착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그러한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에 포함되어있는 도시의 개수를 출력한다. 출발 도시와 도착 도시도 포함한다.
셋째 줄에는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를 방문하는 도시 순서대로 출력한다.
코드
import heapq,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n = int(input()) # 도시의 개수
m = int(input()) # 버스의 개수
bus = [[] for _ in range(n + 1)]
for _ in range(m):
s, e, c = map(int, input().split()) # 출발, 도착, 비용
bus[s].append((e, c))
start, dest = map(int, input().split())
d = [INF] * (n + 1) # 출발점에서 각 노드로 가는 최소 비용 저장할 리스트
d[start] = 0
route = [[] for _ in range(n + 1)] # 경로
route[start].append(start)
def dijkstra(start):
q = [(0, start)]
while q:
cost, now = heapq.heappop(q)
if d[now] < cost : # 원래 저장된 값이 더 작다면 이미 방문한 노드
continue
# 인접 노드들 확인
for next_n, next_c in bus[now]:
next_cost = cost + next_c # 현재 노드를 거쳐 다음 노드로 가는 비용
if next_cost < d[next_n]: # 현재 노드를 거치는게 더 최단거리인 경우
d[next_n] = next_cost
heapq.heappush(q, (next_cost, next_n))
route[next_n] = []
for r in route[now]:
route[next_n].append(r)
route[next_n].append(next_n)
dijkstra(start)
print(d[dest])
print(len(route[dest]))
print(' '.join(map(str,route[dest])))
일반적인 다익스트라에 경로를 저장하는 부분만 추가된 문제라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근데 나는 오래걸렸다...처음에는 최단 거리가 갱신되며 시작지점으로부터 최단거리들을 저장하는 d 배열의 값이 바뀌면 그 노드(next_n)까지의 경로를 저장하는 route[next_n]의 값을 now 노드까지의 경로 문자열에 next_n을 덧붙여 저장하게 했었는데 거기서 잘못되었던 것 같다. 아래의 코드가 처음에 작성했던 코드이다.
import heapq,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n = int(input()) # 도시의 개수
m = int(input()) # 버스의 개수
bus = [[] for _ in range(n + 1)]
for _ in range(m):
s, e, c = map(int, input().split()) # 출발, 도착, 비용
bus[s].append((e, c))
start, dest = map(int, input().split())
d = [INF] * (n + 1) # 출발점에서 각 노드로 가는 최소 비용 저장할 리스트
d[start] = 0
route = [[] for _ in range(n + 1)] # 경로
route[start] = str(start)
def dijkstra(start):
q = []
heapq.heappush(q, (0, start)) # 시작지점은 비용 0으로 해서 힙에 삽입
while q:
cost, now = heapq.heappop(q)
if d[now] < cost : # 원래 저장된 값이 더 작다면 이미 방문한 노드
continue
# 인접 노드들 확인
for next in bus[now]:
next_cost = cost + next[1] # 현재 노드를 거쳐 다음 노드로 가는 비용
if next_cost <= d[next[0]]: # 현재 노드를 거치는게 더 최단거리인 경우
d[next[0]] = next_cost
heapq.heappush(q, (next_cost, next[0]))
route[next[0]] = route[now] + " " + str(next[0])
dijkstra(start)
print(d[dest])
print(len(route[dest])//2 + 1)
print(route[dest])
예제1의 답에서 경로가 1 4 5도 돼서 문제의 조건이 부족한게 아닌가 싶었는데 스페셜 저지라서 예제의 출력과 달라도 맞는거였다. 1 3 5로 안 나와서 답이 계속 틀리는 줄 알았는데 문자열로 처리하는 과정이 잘못되었던거 같다. 배열로 경로를 저장하고 출력 시에 join으로 문자열을 만들어주도록 바꾸었더니 되었다...
'문제풀이 > 최단경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파이썬] 백준 13549번 숨바꼭질 3 (0) | 2023.03.30 |
---|---|
[Python/파이썬] 백준 11403번 경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238번 파티 (0) | 2022.07.20 |
[Python] 백준 14938번 서강그라운드 (0) | 2022.07.16 |
11779번: 최소비용 구하기 2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n≤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m≤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
www.acmicpc.net
문제
n(1≤n≤1,000)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m(1≤m≤100,000)개의 버스가 있다. 우리는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버스 비용을 최소화 시키려고 한다. 그러면 A번째 도시에서 B번째 도시 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과 경로를 출력하여라. 항상 시작점에서 도착점으로의 경로가 존재한다.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n≤1,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1≤m≤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도착지의 도시 번호가 주어지고 또 그 버스 비용이 주어진다. 버스 비용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은 정수이다.
그리고 m+3째 줄에는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구간 출발점의 도시번호와 도착점의 도시번호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출발 도시에서 도착 도시까지 가는데 드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그러한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에 포함되어있는 도시의 개수를 출력한다. 출발 도시와 도착 도시도 포함한다.
셋째 줄에는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를 방문하는 도시 순서대로 출력한다.
코드
import heapq,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n = int(input()) # 도시의 개수 m = int(input()) # 버스의 개수 bus = [[] for _ in range(n + 1)] for _ in range(m): s, e, c = map(int, input().split()) # 출발, 도착, 비용 bus[s].append((e, c)) start, dest = map(int, input().split()) d = [INF] * (n + 1) # 출발점에서 각 노드로 가는 최소 비용 저장할 리스트 d[start] = 0 route = [[] for _ in range(n + 1)] # 경로 route[start].append(start) def dijkstra(start): q = [(0, start)] while q: cost, now = heapq.heappop(q) if d[now] < cost : # 원래 저장된 값이 더 작다면 이미 방문한 노드 continue # 인접 노드들 확인 for next_n, next_c in bus[now]: next_cost = cost + next_c # 현재 노드를 거쳐 다음 노드로 가는 비용 if next_cost < d[next_n]: # 현재 노드를 거치는게 더 최단거리인 경우 d[next_n] = next_cost heapq.heappush(q, (next_cost, next_n)) route[next_n] = [] for r in route[now]: route[next_n].append(r) route[next_n].append(next_n) dijkstra(start) print(d[dest]) print(len(route[dest])) print(' '.join(map(str,route[dest])))
일반적인 다익스트라에 경로를 저장하는 부분만 추가된 문제라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근데 나는 오래걸렸다...처음에는 최단 거리가 갱신되며 시작지점으로부터 최단거리들을 저장하는 d 배열의 값이 바뀌면 그 노드(next_n)까지의 경로를 저장하는 route[next_n]의 값을 now 노드까지의 경로 문자열에 next_n을 덧붙여 저장하게 했었는데 거기서 잘못되었던 것 같다. 아래의 코드가 처음에 작성했던 코드이다.
import heapq,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n = int(input()) # 도시의 개수 m = int(input()) # 버스의 개수 bus = [[] for _ in range(n + 1)] for _ in range(m): s, e, c = map(int, input().split()) # 출발, 도착, 비용 bus[s].append((e, c)) start, dest = map(int, input().split()) d = [INF] * (n + 1) # 출발점에서 각 노드로 가는 최소 비용 저장할 리스트 d[start] = 0 route = [[] for _ in range(n + 1)] # 경로 route[start] = str(start) def dijkstra(start): q = [] heapq.heappush(q, (0, start)) # 시작지점은 비용 0으로 해서 힙에 삽입 while q: cost, now = heapq.heappop(q) if d[now] < cost : # 원래 저장된 값이 더 작다면 이미 방문한 노드 continue # 인접 노드들 확인 for next in bus[now]: next_cost = cost + next[1] # 현재 노드를 거쳐 다음 노드로 가는 비용 if next_cost <= d[next[0]]: # 현재 노드를 거치는게 더 최단거리인 경우 d[next[0]] = next_cost heapq.heappush(q, (next_cost, next[0])) route[next[0]] = route[now] + " " + str(next[0]) dijkstra(start) print(d[dest]) print(len(route[dest])//2 + 1) print(route[dest])
예제1의 답에서 경로가 1 4 5도 돼서 문제의 조건이 부족한게 아닌가 싶었는데 스페셜 저지라서 예제의 출력과 달라도 맞는거였다. 1 3 5로 안 나와서 답이 계속 틀리는 줄 알았는데 문자열로 처리하는 과정이 잘못되었던거 같다. 배열로 경로를 저장하고 출력 시에 join으로 문자열을 만들어주도록 바꾸었더니 되었다...
'문제풀이 > 최단경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파이썬] 백준 13549번 숨바꼭질 3 (0) | 2023.03.30 |
---|---|
[Python/파이썬] 백준 11403번 경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238번 파티 (0) | 2022.07.20 |
[Python] 백준 14938번 서강그라운드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