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49번: 숨바꼭질 3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www.acmicpc.net
문제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또는 X+1로 이동하게 된다.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0초 후에 2*X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수빈이와 동생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수빈이가 동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 몇 초 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수빈이가 있는 위치 N과 동생이 있는 위치 K가 주어진다. N과 K는 정수이다.
출력
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
코드
from heapq import heappop, heappush
n, k = map(int, input().split())
visited = [False] * 100_001
visited[n] = True
q = []
heappush(q, (0, n))
while q:
cnt, now = heappop(q)
if now == k:
print(cnt)
break
if now * 2 <= 100_000 and not visited[now*2]:
visited[now*2] = True
heappush(q, (cnt, now*2))
for nx in [now-1, now+1]:
if 0 <= nx <= 100_000 and not visited[nx]:
visited[nx] = True
heappush(q, (cnt+1, nx))
- 기본적인 BFS와 유사한데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시간을 소모하지 않고 이동을 하므로 이 경우를 고려해주기 위해 heapq를 이용하였다.
- 처음에는 방문한 노드를 visited에 표시해주지 않아서 시간 초과가 발생했는데 visited에 이미 방문한 노드는 표시를 하여 다시 방문하는 일을 막았더니 시간 초과를 해결할 수 있었다.
'문제풀이 > 최단경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파이썬] 백준 1753번 최단경로 (0) | 2023.03.30 |
---|---|
[Python/파이썬] 백준 11265번 끝나지 않는 파티 (0) | 2023.03.30 |
[Python/파이썬] 백준 11403번 경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1779번 최소비용 구하기 2 (0) | 2022.07.25 |
13549번: 숨바꼭질 3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www.acmicpc.net
문제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또는 X+1로 이동하게 된다.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0초 후에 2*X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수빈이와 동생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수빈이가 동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 몇 초 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수빈이가 있는 위치 N과 동생이 있는 위치 K가 주어진다. N과 K는 정수이다.
출력
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
코드
from heapq import heappop, heappush n, k = map(int, input().split()) visited = [False] * 100_001 visited[n] = True q = [] heappush(q, (0, n)) while q: cnt, now = heappop(q) if now == k: print(cnt) break if now * 2 <= 100_000 and not visited[now*2]: visited[now*2] = True heappush(q, (cnt, now*2)) for nx in [now-1, now+1]: if 0 <= nx <= 100_000 and not visited[nx]: visited[nx] = True heappush(q, (cnt+1, nx))
- 기본적인 BFS와 유사한데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시간을 소모하지 않고 이동을 하므로 이 경우를 고려해주기 위해 heapq를 이용하였다.
- 처음에는 방문한 노드를 visited에 표시해주지 않아서 시간 초과가 발생했는데 visited에 이미 방문한 노드는 표시를 하여 다시 방문하는 일을 막았더니 시간 초과를 해결할 수 있었다.
'문제풀이 > 최단경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파이썬] 백준 1753번 최단경로 (0) | 2023.03.30 |
---|---|
[Python/파이썬] 백준 11265번 끝나지 않는 파티 (0) | 2023.03.30 |
[Python/파이썬] 백준 11403번 경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0) | 2023.03.29 |
[Python/파이썬] 백준 11779번 최소비용 구하기 2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