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63번: 섬의 개수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
www.acmicpc.net
문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과 바다 지도가 주어진다. 섬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정사각형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은 걸어갈 수 있는 사각형이다.
두 정사각형이 같은 섬에 있으려면, 한 정사각형에서 다른 정사각형으로 걸어서 갈 수 있는 경로가 있어야 한다. 지도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가 주어진다. 1은 땅, 0은 바다이다.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두 개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섬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8방향(위부터 시계방향으로)
dx = [-1, -1, 0, 1, 1, 1, 0, -1]
dy = [0, 1, 1, 1, 0, -1 , -1, -1]
def bfs(x, y, w, h, map_data):
que = deque([(x, y)])
while que:
a, b = que.popleft()
for i in range(8):
nx = a + dx[i]
ny = b + dy[i]
# 범위 내가 아니면 그냥 패스
if nx < 0 or nx >= h or ny < 0 or ny >= w:
continue
# 갈 수 있는 땅인가?
if map_data[nx][ny] == 1:
que.append((nx, ny))
map_data[nx][ny] = 0 # 방문했으니 0으로 변경
while True:
map_data = []
cnt = 0
# 너비(w)와 높이(h) 입력 (50 이하의 정수)
w, h = map(int, input().split())
# 입력 종료
if w == 0 and h == 0:
break
# 맵 입력받기
for i in range(h):
map_data.append(list(map(int, input().split())))
# 맵 탐색
for i in range(h):
for j in range(w):
if map_data[i][j] == 1:
bfs(i, j, w, h, map_data)
cnt += 1
print(cnt)
map_data.clear()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dfs, bfs 유형의 문제였다. 나는 bfs를 이용하여 해결하여 보았다.
'문제풀이 > DFS_B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1987번 알파벳 (0) | 2022.08.13 |
---|---|
[Python] 백준 12852번 1로 만들기 2 (0) | 2022.08.03 |
[Python/파이썬] 백준 2644번 촌수계산 (0) | 2022.01.17 |
[Python/파이썬] 백준 1012번 유기농 배추 (0) | 2022.01.17 |
[Python/파이썬] 백준 2606번 바이러스 (0) | 2022.01.14 |
4963번: 섬의 개수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
www.acmicpc.net
문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과 바다 지도가 주어진다. 섬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정사각형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은 걸어갈 수 있는 사각형이다.
두 정사각형이 같은 섬에 있으려면, 한 정사각형에서 다른 정사각형으로 걸어서 갈 수 있는 경로가 있어야 한다. 지도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가 주어진다. 1은 땅, 0은 바다이다.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두 개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섬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8방향(위부터 시계방향으로) dx = [-1, -1, 0, 1, 1, 1, 0, -1] dy = [0, 1, 1, 1, 0, -1 , -1, -1] def bfs(x, y, w, h, map_data): que = deque([(x, y)]) while que: a, b = que.popleft() for i in range(8): nx = a + dx[i] ny = b + dy[i] # 범위 내가 아니면 그냥 패스 if nx < 0 or nx >= h or ny < 0 or ny >= w: continue # 갈 수 있는 땅인가? if map_data[nx][ny] == 1: que.append((nx, ny)) map_data[nx][ny] = 0 # 방문했으니 0으로 변경 while True: map_data = [] cnt = 0 # 너비(w)와 높이(h) 입력 (50 이하의 정수) w, h = map(int, input().split()) # 입력 종료 if w == 0 and h == 0: break # 맵 입력받기 for i in range(h): map_data.append(list(map(int, input().split()))) # 맵 탐색 for i in range(h): for j in range(w): if map_data[i][j] == 1: bfs(i, j, w, h, map_data) cnt += 1 print(cnt) map_data.clear()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dfs, bfs 유형의 문제였다. 나는 bfs를 이용하여 해결하여 보았다.
'문제풀이 > DFS_B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1987번 알파벳 (0) | 2022.08.13 |
---|---|
[Python] 백준 12852번 1로 만들기 2 (0) | 2022.08.03 |
[Python/파이썬] 백준 2644번 촌수계산 (0) | 2022.01.17 |
[Python/파이썬] 백준 1012번 유기농 배추 (0) | 2022.01.17 |
[Python/파이썬] 백준 2606번 바이러스 (0) | 2022.01.14 |